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상승장과 횡보장 시장을 보는 방법 요즘 들어 궁금했던 주식 상승장과 횡보장 시장을 읽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봤다. Q. 무엇이 상승장과 횡보장을 나누는가? 상승장과 횡보장의 반복 = 그래서 언제 투자해야 되는데? 오를 때 10배 정도 압축해서 오르고, 10년 넘게 쉬고..가 반복됨 그래서 상승장이 언젠데? - GDP가 고성장 하는 시기가 상승장일까? ㄴㄴ - EPS(기업이익)가 고성장하는 시기가 상승장일까? ㄴㄴ - PER(PBR)이 증가하는 시기가 상승장일까? ㅇㅇ (당연한소리?ㅇㅇ) Q. 사람들의 고통지수? 사람들이 어떤 데이터에 따라서 경제적으로 고통이 많아질까? 아서 오쿤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의 경제적 고통지수는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에 의해 결정된다. =>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높을수록 사람들이 고통스럽다. => 물가와 실업률이 안.. 더보기
[경제상식] 수요, 수요법칙 수요 (Demand) : 경제주체가 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 욕구 (= 구매의사 + 돈) :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과 능력까지 포함된 아주 구체적인 의사로 단순한 욕구와는 구별된다.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 욕구는 가격, 소득, 선호 등 다양한 상황과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이다. 일반적으로 다음 요소들이 수요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조건과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재화의 가격 : 새 소설책의 가격이 높다면 사람들은 종이책을 구매하기 보다 E북이나 도서관에서 대여해보려고 한다. 관련재의 가격 : 연관재의 가격 ( 대체제, 보완재 ) 가용재산 : 대부분 가용재산이 많을수록 많은 재화를 구매하려고 한다. 선호 : .. 더보기
[경제상식] 희소성, 기회비용, 매몰비용 1. 희소성의 원칙 : 경제학은 희소성으로부터 시작한다. 희소성으로 인해 선택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희소성 (scarcity) 이란 인간의 제한된 자원을 분배하면서 생긴 경제적 문제 (출처 : wikipedia ) 어떤 것을 원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모두 만족시킬만큼 자원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함 희소성의 원칙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지만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우리는 선택의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2.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 합리적인 선택을 하려면 비용을 정확히 계산해야 하며, 이때 자주 언급되는 중요한 개념 정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포기하는 가치 중 가장 큰 것 비용은 단순히 금전적 개념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도 등도 포함됨 기회비용과 선택 편익 > 기회비.. 더보기
뜬금없지만 경제공부 시작합니다. 나는 20대 초반부터 경제, 경영 공부에 관심이 많았다. 이유는 재테크로 부자 된 성공 스토리를 자주 접하며 자연스레 귀여운 호기심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나름대로 경제 스터디, 인강, 각종 서적들을 통해 조금씩 입문을 시도했었다. 하지만 생소하고 어려운 용어들과 높은 진입장벽에 금방 포기해 버렸다. 또한 당장 토익 점수 100점이 언제 써먹을지 모르는 고리타분한 경제공부보다 더 중요했으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경제 공부를 시작하려고 한다. 이유는 이러하다. 1. 더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위하여 우리는 살면서 수많은 선택을 해야 한다. 좋든 싫든 아침에 일어날 때부터 잠들기 전까지 항상 선택의 기로에 서있다. ( 매일 아침을 '5분만 더 잘까'로 시작한다 크크 ) 그렇다면 27년 동안 매일 .. 더보기